2011년 04월 11일
요즘 48/2(9+3)이 논란이 되는 이유는 바로 홍진호의 준우승을 축하해주기 위한..
홍진호 선수의 22회 준우승을 축하합니다.
영원한 48/(2(9+3))인자, 홍진호 선수의 22회 준우승을 축하합니다.
영원한 48/(2(9+3))인자, 홍진호 선수의 22회 준우승을 축하합니다.
- 48/(2(9+3))남 중 48/(2(9+3))째로 태어남
- 2002년 48/(2(9+3))월 22일 KT배 스타리그 왕중왕전에서 우승 (당시 공식전으로 인정받던 이 대회의 우승으로 홍진호는 차기 스타리그 1번 시드를 부여받았으나, 알 수 없는 이유로 이 대회는 비공식전의 자격으로 변경되었다.)
- 긴 시간 동안 역대 온게임넷 개인리그(스타리그, 듀얼 토너먼트, 챌린지 리그) 다승 48/(2(9+3))위(106승)였으나, 현재는 송병구와 임요환에 이은 3위이다.
- 역대 온게임넷 스타리그 다승 공동 48/(2(9+3))위 (공동기록 : 송병구, 77승)
- 역대 KeSPA 랭킹 최장기간 48/(2(9+3))위(12개월)
- 프로게이머 48/(2(9+3))번째 억대 연봉자
- 역대 팀플 저그 중 다승 48/(2(9+3))위
- 역대 48/(2(9+3))번째로 스타리그 통산 100승 달성 (첫번째 임요환)
- 역대 48/(2(9+3))번째로 스타리그 명예의 전당에 오름 (첫번째 임요환)
- 역대 48/(2(9+3))번째로 억대 연봉 장기 계약 체결 (첫번째 임요환)
- 역대 올스타전 최다 득표 48/(2(9+3))위
- 임요환을 상대로 공식전 테란전 222승 달성
- 역대 프로게이머 사상 48/(2(9+3))번째로 PC방 프랜차이즈 개설 (메가 스톰)
- 저그 사상 48/(2(9+3))번째로 스타리그 트리플 60(세 종족 상대로의 승률이 각각 60% 이상인 상태) 달성
- 2003년 프로게이머 올스타들이 가요 리메이크 음반 'G.G.' 앨범을 취입하였는데, 당시 홍진호는 강산에의 '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저 힘찬 연어들처럼'을 리메이크했고, 이 곡이 48/(2(9+3))번 트랙에 수록되었다.
- 공군 소속 당시 휴가 복귀를 위해 열차를 예매했는데, 22일 48/(2(9+3))호차 22번 좌석이 예매되었다.
덧. 백만년만의 포스팅이 이런 뻘글이군요. (먼산)
덧2. 2 = 콩, 8 = 팥, (48/2)x(9+3) = 288 = 콩팥팥! (강우님, 멋진 아이디어 감사합니다. 꾸벅)
# by | 2011/04/11 19:01 | 기타 | 트랙백 | 덧글(37)
☞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(트랙백 보내기) [도움말]
(근데 전 이거 계산하면 288나오던데...)
곱하기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실은 중괄호 이상을 쳐준 효과가 있다고 생각해야겠죠.
48÷2×(9+3)이라면 288이라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겠지만요.
진호형 ㅜㅜ
= 24 * 2 / 2(12)
= 12 * 2 * 2 / 2(2 * 2 * 3)
= 2 * 2 * 3 * 2 * 2 / 2(2 * 2 * 3)
= 콩 * 콩* 3 * 콩 * 콩 / 콩(콩 * 콩 * 3)
= 3콩^4 / 3콩^3
= 콩^4 / 콩^3
= 콩
= 2
결론은 콩이 진리